목록backend/java (5)
배움과 기록의 장
2023.1.12 작성 🔸 JSON 개념 숙지- JSON(JavaScript Object Notation) 이란? 데이터 교환을 위해 만들어진 객체 형태의 포맷 - JSON을 사용하는 이유 자바 언어를 이용하여 Map에 데이터를 저장한 후 이것을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할 때, 상대 사용자도 자바 프로그램이어야 Map의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. 하지만 모두가 같은 언어로 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으니, 이런 경우에 데이터를 전송하r고 읽기 위해 만들어진 포맷이 JSON - JSON 형태로 변경하는 방법 jackson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ObjectMapper클래스를 사용하여 JSON형태로 변환Map message = new HashMap(){{ put("받는사람", "coco"); ..
2023.1.4 작성 🔸 예외처리 exception handling 란?- 예기치 않게 발생하는 에러에 대응할 수 있는 코드를 사전에 작성하여 프로그램의 비정상적인 종료를 방지하고, 정상적인 실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-내부적인 요인(개발자의 코드작성 에러) , 외부적인 요인(하드웨어ex.메모리 문제, 네트워크의 연결끊김, 사용자 조작 오류)-발생 시점에 따라 컴파일에러, 런타임 에러로 구분 (+ 논리적인 오류가 있을 경우에 발생하는 논리적 에러까지 있음) 🔸 컴파일 에러 (Compile Time Error)-신택스 에러 syntax errors-자바 컴파일러가 오류를 감지 🔸 런타임 에러 (Run Time Error)-프로그램 실행 시 만나게 되는 에러-주로 개발자가 컴퓨터가 수행할 수..
2023.1.4 작성 🔸 제네릭과 제네릭의 장점-클래스나 메서드의 코드를 작성할 때, 타입을 구체적으로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, 추후에 지정할 수 있도록 일반해두는 것, 특정 데이터 타입에 얽매이지 않게!-c++ 할 때 배운 템플릿 같은 거임-제네릭에 들어가는 타입으로 기본 타입이 아닌 래퍼클래스로 들어간다. int는 기본타입이고, int의 래퍼클래스는 Integer이므로 int가 아닌 Interger로 들어간다.-래퍼클래스(wrapper class)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검색해보기~ 100을 참조변수로 참조하며 객체의 값으로 받는 느낌? 🔸 제네릭 클래스 정의와 사용-정의 예시 타입 매개변수는 임의의 문자로 지정 자주 사용하는 타입 매개변수 T:Type, K:Key, V:Value, E:Eleme..
2023.1.4 작성 🔸 열거형 enum 이란-여러 상수들을 보다 편리하게 선언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자바의 문법요소 ex. 계절 -> 봄,여름, 가을, 겨울-쉽게 말하면 표지판 같은 것 ex. 당근을 들면 신고해주세요의 당근같은 것-JDK 1.5 이전 버전에서는 enum 문법을 지원하지 않았음 🔸 열거형 enum의 장점-여러 상수들을 보다 편리하게 선언하고 관리할 수 있음-상수명의 중복을 피할 수 있음-타입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함 (Seasons.SPRING = 1; Framworks.SPRING =1; Seasons.SPRING == Frameworks.SPRING 이 true 가 되는 상황을 막을 수 있음)-switch 문에서도 작동이 가능함 (switch문의 조건 -> char, byte, ..

배열과 배열의 요소를 이리저리 할당/재할당 할 때, 주소값이 저장되는지 값이 저장되는지 헷갈릴 때가 많아서 혼자 이것저것 쳐봤다 배열의 요소와 값1. 코드 int[] a = new int[]{1,2,3,4,5}; System.out.println(a); System.out.println(a.length); for(int i = 0; i 2. 출력 3. 결론 b[2] = a[2] 를 하면 값만 저장되는 것이기 때문에, b[2] 값을 바꿔도 a[2]는 바뀌지 않는다. b와 a가 서로 전혀다른 배열을 참조하고 있기 때문에 b의 변화가 a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. 배열과 주소값1. 코드 b= a; // a라는 객체의 주소값이 저장됨 ..